|
|
1.1 Paper |
|
- 現代日本語の「打ち言葉」の定義と特徴-「Twitter」のクローリングによる「打ち言葉」の分析を通じて-
|
|
1.2. Abstract |
|
본고에서는 일본인이 애용하고 있는 대표적인 SNS인 '트위터(Twitter)'를 '입력어(打ち言葉,typed language)'를 키워드로 하여 데이터를 크롤링하는 것을 통해 '입력어'에 대한 통시적인 고찰을 수행하여 '입력어'의 정의와 그 특징을 명확히 했다. 그 자세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우선 '구어'와 '문어'의 비교 방식을 '입력어'의 정의에 도입하여 '매체(미디어)'와 '상황'이라는 측면에서 '입력어'에 대한 고찰을 수행했다. 그 결과, 본고에서는 '입력어'가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 디지털 매체에서 문자입력에 의한 채팅이나 텍스트에서 나타나는 말'이라고 정의하고, 이어서 '입력어'를 '채팅 입력어'와 '기술의존 입력어'로 분류했다. 자세히 설명하자면, 네트워크를 통해 이루어지는 문자 회화에서 나타나는 말을 '입력어'라고 하는 정의는 유효하며, 이와 같은 말을 '채팅 입력어'라고 정의했다. 한편, 전자화 문자에 의한 텍스트에는 '입력'이라는 행위가 주로 작용하기 때문에 '구어'는 물론이거니와 '문어'와도 다른 새로운 말이 발생했다. 표기의 다층구조(한자, 히라가나, 가타카나, 로마자 등)와 독자적인 디지털 문자입력방법(PC와 스마트폰의 키보드, 스마트 폰의 텐키 등)이 결합된 일본어 특유의 상황이 그 배경이 되는데,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말을 '기술의존 입력어'라고 정의했다.
'입력어'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의 PC통신으로부터 시작되어, 1990년대의 '호출기'와 '핸드폰 메일'에 많이 사용되어, 현재에는 SNS에서 많이 나타난다. 이와 같은 '입력어'는 문자를 통한 회화이기 때문에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수단이나 반언어적 표현(半言語的表現, paralanguage expression) 정보가 결여되어 있다. 따라서 이모티콘(이미지・텍스트), 이모지, 기호와 같은 대체수단을 도입하게 된 것이다. 그 중에서 '라인(LINE)'과 같은 메신저 계열의 SNS에서는 '채팅 입력어'의 특징이 높게 나타나며, '트위터'와 같은 전자게시판 계열 SNS에서는 '채팅 입력어'와 '기술의존 입력어'의 특징이 동시에 나타나고 있다. |
|
|
|